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통신방식?🧐 |
|
|
Unicast, Multicast, Broadcast는 언제, 어떤 서비스에 사용하는 걸까? |
|
|
Unicast, Multicast, Broadcast의 차이점에 대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
|
이번 네트워크 칼럼 3장에서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프로토콜에 대해서 이해하고 각각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매주 네트워크칼럼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10장까지 함께해요!😍 |
|
|
프로토콜은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규칙과 절차를 정의한 규약이다. 이러한 규약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프로토콜, 라우팅, 오류검사, 보안 등 다양한 측면을 다루는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TCP/IP, Ethernet, Wi-Fi, HTTP, SMTP, DNS, SNMP, DHCP 등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하며, 그 중 TCP/IP는 인터넷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프로토콜이다. |
|
|
TCP/IP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TCP와 IP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IP 프로토콜은 OSI 7계층에서 Network Layer(네트워크 계층/3 계층)에 해당하며, 경로와 목적지를 찾아주는 라우팅 역할을 한다. TCP 프로토콜은 OSI 7계층에서 Transport Layer(전송 계층/4 계층)에 해당하며, 송신 장비와 수신 장비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TCP 세그먼트는 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고, 재조립하여 데이터를 완성하며, 오류 발생 시 재전송을 요청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한다. |
|
|
유니캐스트 - 특정 호스트(E)와 특정 호스트(F)간만 통신하는 방식 |
|
|
특정 호스트들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방식으로 송신하는 입장에서 보면 수신하는 호스트가 오직 1개밖에 없다.
특징
1) 단일 수신자 (일대일 통신)
2) 신뢰성: 중간에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왜곡되는 일이 거의 없음
3) 보안: 특정 수신자에게만 전송 |
|
|
1) 송신 호스트는 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로 패킷화 하여 목적지 호스트의 IP주소로 전송
2) 데이터 패킷은 목적지 호스트의 IP 주소에 의해 L3 스위치나 라우터에서 라우팅 되고 목적지 호스트에 전송
3) 목적지 호스트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재조립하여 처리 |
|
|
멀티캐스트 - 멀티캐스트 서버(E)와 특정 호스트들의 그룹(A,C,F,H,J)간 통신하는 방식 |
|
|
하나의 송신자가 여러개의 수신자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그룹으로 묶인 여러대의 호스트들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특징
1) 단일 송신자, 다중 수신자(1:N 일대다 통신)
2) 신뢰성 없음
3) 대역폭 효율성: 데이터의 중복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음
4) IPTV와 같은 단방향으로 다수에게 동시에 같은 내용을 전송시에 사용 |
|
|
1) 송신 서버는 멀티캐스트 그룹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2) 호스트는 해당 그룹 IP 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멀티캐스트 패킷만을 수신
3) 라우터가 있는 경우, 멀티캐스트 그룹을 인식하여 해당 그룹에 속한 호스트들에게만 멀티캐스트 패킷을 전송
4) 라우터상의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기 위해 IGM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IGM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라우터에 멀티캐스트 그룹 정보를 전달
5) PIM: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라우터와 라우터끼리 라우팅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
|
멀티캐스트 범위 : class D(224.0.0.0 ~ 239.255.255.255) |
|
|
송신 호스트에서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특징
1)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 (1:N 통신)
2) 유니캐스트로 통신하기 전, 주로 상대방의 정확한 위치를 알기 위해 사용(ARP 프로토콜)
3) 네트워크 트래픽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트래픽 혼잡을 초래 |
|
|
1) 송신 호스트는 브로드캐스트 주소(255.255.255.255)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호스트 부분이 모두 1로 구성됨)
2) 스위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포워딩 |
|
|
[구축사례]
[파이오링크 보안스위치] 내부망의 악성코드, APT 공격으로 인한 피해! 방치하시겠습니까?
병원의 과도한 트래픽 차단과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파이오링크 보안스위치를 도입하고 트래픽 및 단말기들을 관리하기 위해 네트워크 통합관리솔루션을 도입했습니다. |
|
|
님! 오늘 레터 어떠셨나요?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69, B126호 | 02-6953-2104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