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핑에 의한 네트워크 멈춤 현상을 STP가 막아줄 수 있다는 점 다들 아셨나요? STP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스위치 포트를 포워딩 혹은 차단 상태로 만들어서 이더넷 프레임의 루핑을 방지해준다고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이번 칼럼에서 알아보도록 할거예요! 오늘도 힘내자구요!🤓🤓
네트워크를 구성하다 보면 장애를 대비해서 장비이중화나 케이블 이중화를 필수적으로 구성하게 됩니다. 하지만 , 이런 경우 루핑, 브로드캐스트 storm, duplicate packet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IEEE 802.1D 표준에 의해 STP 프로토콜이 제정되었습니다. 아래 네트워크를 보면서 STP를 설정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용성을 위한 물리적 이중화 구성시 이더넷 프레임 흐름]
위와 같은 물리적 네트워크 구성시에는 상기에 언급했던 문제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1. MAC 테이블 불안정
2. 브로드캐스트 STORM
3. 프레임 다중 전송
2. STP을 사용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STP를 사용시 자동으로 스위치 포트를 포워딩(Forwarding) 혹은 차단(Blocking) 상태로 만들어 이더넷 프레임(Frame)의 루핑을 방지해 줍니다. 포워딩 상태의 인터페이스 포트들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차단(Blocking) 상태의 인터페이스 포트들은 STP 메시지 및 기타 중요한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수신되는 프레임을 처리하지 않고 무시합니다. 즉, 차단된 인터페이스 포트는 MAC 주소를 학습하지도 않고, 프레임을 전달하지도 않으며, 수신된 프레임도 처리하지 않습니다.
[STP에 의해서 동작하는 이더넷 프레임 흐름]
상기 네트워크 구성의 예에서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이 어떻게 동작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oE(Power over Ethernet) 기술은 네트워크 UTP 케이블을 통해서 데이터와 전력을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로서 비용절감 및 편리성등으로 인하여 많은 곳에서 사용 중입니다. PoE 기술 및 PoE 스위치 구축시 고려해야 하는 점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