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ICMP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려고 합니다. ICMP는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번 뉴스레터를 통해 ICMP의 주요 기능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함께 ICMP가 네트워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왜 중요한지 알아보도록 해보아요!📚😊
ICMP(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는 IETF의 RFC 792에서 정의되어 있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인터넷에서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 사용된다. 여기서 'IP 프로토콜'은 OSI 7계층 중 3계층에 해당하며,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지 않는 'Best Effort 프로토콜(BE)'이다.
1. 비 신뢰성
- 패킷의 손실이나 순서 변경을 보장하지 않음
- 네트워크 혼잡, 장비 오류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 가능함
2. 비 보장성
-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지 않음
3. 비 연결성
- 연결지향적인 프로토콜이 아님
-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미리 연결을 설정하지 않음
그렇기 때문에 'IP 패킷 전송' 중에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ICMP는 IP패킷에 포함되어 '에러 발생 원인' 및 '네트워크 상태'를 진단 및 원인 파악을 해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ICMP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표적인 서비스
"ping", "traceroute", "tracert", "tracepath"
1) Echo Request/Echo Reply : 호스트간 연결테스트
2) Destination Unreachable : 목적지 도달 불가능 메시지
3) Time Exceeded : TTL 만료
4) ICMP Redirect : 패킷을 목적지에 보내기 위해 새로운 경로로 리다이렉션
5) 오류 보고 및 상태 알림 : 호스트, 라우터, 네트워크등의 상태를 감지하고 다른 장비에게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