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에서 장비들은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ICANN이 이를 국제적으로 관리합니다. 한국은 KRNIC이 ICANN에서 위임받아 IP 주소를 할당하고 관리하며, 현재는 IPv4 주소체계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기기의 증가로 인해 IPv6 주소체계가 향후에는 더 널리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IP 주소는 32비트의 이진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8비트씩 구분하여 십진수로 변환하여 사용됩니다.
2. 네트워크(Network) 부 + 호스트(Host)부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눠집니다. 네트워크 부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장비들과 통신하려면 라우터(혹은 L3 스위치)를 통해 라우팅이 필요합니다. 호스트 부는 장비를 나타내는 IP주소로,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장비들은 호스트 IP 주소가 달라야 하고 네트워크 부 주소(서브넷 마스크)는 모두 동일해야 합니다.
3. IP 주소 클래스 (IP Class)
A 클래스
32비트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로 나누는데, 32비트 중 앞 8비트는 네트워크 부로, 다음 24비트는 호스트 부로 할당됩니다.
네트워크 부의 첫 번째 비트가 항상 '0'이며, 이는 클래스 A를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클래스 A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부의 범위는 0부터 127까지의 범위를 나타냅니다.그러나 127은 사용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실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범위는 '1.0.0.0 ~ 126.255.255.255'입니다.
B 클래스
클래스 B에서는 32비트 중 앞 16비트를 네트워크 부로, 다음 16비트를 호스트 부로 나웁니다. 네트워크 부의 맨 앞 2비트가 '10'으로 고정되며, 이진수로 표현하면 '10000000 ~ 10111111'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십진수로 표현하면 '128 ~ 191'이며, 따라서 실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범위는 '128.0.0.0 ~ 191.255.255.255'입니다.
C 클래스
클래스 C에서는 32비트 중 앞 24비트를 네트워크 부로, 다음 8비트를 호스트 부로 나웁니다. 네트워크 부의 맨 앞 3비트가 '110'으로 고정되며, 이진수로 표현하면 ‘11000000 ~ 11011111’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십진수로 표현하면 ‘192 ~ 223’이며, 따라서 실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범위는 ‘192.0.0.0 ~ 223.255.255.255’입니다.
/
클래스 D는 멀티캐스트 용도로 사용하며, 클래스 E는 연구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멀티캐스트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칼럼 3장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저희 오엔시스템즈에서는 네트워크 장비 및 보안장비에 대한 구축 리퍼런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IP 주소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